부산 에이즈 환자 878명 확인…80명은 연락 두절

입력 2017-10-26 11:27

현재 부산지역 에이즈 감염자는 878명으로 확인됐다. 이들 가운데 798명은 보건당국의 지원 아래 상담과 치료, 투약처방을 받고 있지만 80명은 치료를 거부한 채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소속 정명희(민주당 비례) 의원은 26일 20대 여성 에이즈 성매매 사건 직후 부산시와 16개 보건소에서 받은 에이즈 감염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현재 부산 에이즈 감염자 수는 878명이라고 밝혔다. 이중 남성은 781명, 여성은 97명이다. 구·군별로는 부산진구가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동구 11명, 북구와 사하구 각 9명, 서구와 해운대구 각 6명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798명은 상담, 치료, 투약 처방을 받고 있으나 나머지 80명은 연락이 두절되고 소재 파악이 불가능해 에이즈 감염자 관리에 구멍이 뚫렸다. 소재 파악이 안되는 80명 중에는 3∼4년 전부터 연락이 끊긴 환자부터 최근 신규 환자로 판명된 사람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상담거부는 물론 진료와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활동을 약화시키는 항레트로바이러스 투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몸 상태가 악화할 우려가 크다. 또 불특정 다수와 성관계를 할 가능성이 있어 에이즈가 더 확산될 수 있다. 

국민일보

하지만 보건당국이 연락이 두절된 80명의 환자를 찾아 치료를 권유하는 건 현행법상 불가능하다. 2008년 에이즈 환자의 인권보호를 위해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이 개정되면서 감염자 명부 작성, 비치, 보고 제도 모두 폐지됐기 때문이다. 이에 일선 보건소는 에이즈 환자의 실명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연락처 정도만 알고 있다.

소재 파악 역시 법 개정 전에는 분기에 1회 전화로 했으나 지금은 이런 규정이 없어 보건소에 따라 통상 1년에 한두 번씩 연락을 취하는 경우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병원 치료 후 치료비를 보전 받기 위해 보건소에 본인 부담금 보전 신청서를 낼 때에만 에이즈 환자의 신원과 소재를 파악하게 됐다.

정명희 시의원은 “에이즈예방법 개정은 그들의 인권을 더욱 보호하라는 취지이지 치료를 위한 관리를 소홀히 하라는 의미는 아니다”며 “부산시를 비롯해 보건당국은 에이즈 예방과 치료를 위한 다각적인 홍보 등 유연한 정책을 펴 보건행정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세원 기자 sewon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