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연안해운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연안여객선의 안전관리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연안해운 종합 발전전략’을 수립, 26일 발표했다.
해수부 측은 “연안여객선 노후화, 편의시설 부족 등 연안해운 분야 문제점을 해결하고 침체된 해운업의 재도약을 위한 구체적 실행방안을 추진하고자 발전전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국민경제와 해양영토를 수호하는 친환경 연안해운’이란 비전 아래 ▲경쟁력을 갖춘 튼튼해운 ▲사각지대 없는 공공해운 ▲경쟁을 넘어 상생하는 해운 ▲친환경 녹색해운 등 4가지 부문에 대해 추진한다.
먼저 연안여객선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노후 여객선 대체건조를 촉진하는 ‘연안여객선 현대화펀드’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도서지역 운항여건을 고려해 해당 지역에 특화된 접안시설도 정비한다.
연안여객선 할인이용권 ‘바다로’ 등 다양한 여객운송 서비스상품을 개발하고, 지자체와 협의해 여객터미널 접근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다년간의 적자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선사에 국가가 운영비를 지원하는 준공영제를 확대한다.
여객선 점검 인력과 운항 안전관리자 등을 증원하는 한편, 업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또한 선·화주 간 상생을 지원하기 위한 협의체를 통해 운송료 산정 기준 및 표준약관 마련을 논의한다.
해운분야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존선박을 친환경선박으로 개조하는 데 드는 비용을 지원하는 등 국제적인 녹색해운 추진 기조에도 동참한다.
녹색해운은 선박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해운을 말한다.
해수부는 새롭게 수립한 발전전략을 추진해 연평균 1500만 명 수준의 여객선 이용객을 2030년까지 2000만 명으로 늘리고, 총 매출액도 연 2조4000억 원 규모에서 3조 원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엄기두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이번 발전전략을 통해 국가 기간산업인 연안해운산업의 재도약 및 위상 제고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며 “침체된 연안해운에 활기를 불어넣고 연관 산업의 일자리 창출 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