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방한 중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할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미묘한 답변을 내놓았다. "당신들은 놀라게 될 것"이란 말로 답변을 대신했다. "놀라게 될 것"이란 표현을 두 차례나 사용했다. 미국 언론은 이를 DMZ 방문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했다. 만약 그렇게 될 경우 한동안 잠잠하던 북·미 갈등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다음달 7~8일로 예정된 방한 일정 중 DMZ 방문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워싱턴타임스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DMZ 시찰 여부를 묻는 기자들에게 “말하지 않는 게 낫겠다”며 “여러분은 놀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DMZ 방문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다. 기자들은 무슨 의미인지 되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웃으며 더 이상 설명하지 않았다고 워싱턴타임스는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의 긴장 고조를 피하기 위해 DMZ를 방문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지난 23일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관련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캠프 험프리를 방문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DMZ와 캠프 험프리) 둘 다 방문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언론은 (안전 문제로) DMZ를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지만, 안전이 우리의 고려사항은 아니다”라며 “시간적 제약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일정이 변경될 수도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역대 미국 대통령은 방한 시 굳건한 한·미동맹을 과시하기 위해 DMZ를 방문했다. 1983년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방한 이후 DMZ를 찾지 않은 미국 대통령은 조지 H W 부시(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하지만 부시 대통령도 레이건 행정부의 부통령 시절에는 DMZ를 찾았다.
하지만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설전이 한반도 긴장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린 터라 한국 정부뿐만 아니라 미 국무부도 트럼프 대통령의 DMZ 방문을 반대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