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관절이 노화되어 각종 관절 통증을 유발하는데, 무릎은 여러 관절 중에서도 운동량이 많아 노화가 빠른 부위로 꼽힌다. 요즘같이 기온이 점차 내려가는 시기에 무릎 통증이 심해지는 느낌이 있다면, 무릎 관절염이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병원을 찾아 정밀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무릎 관절염은 무릎 연골이 외부 충격과 노화로 닳거나 변형되면서 염증이 생기거나 통증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퇴행성질환 중 하나다.
무릎 연골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어렵고, 손상을 방치하거나 간과할 경우 연골 손상 범위가 커져 퇴행성 관절염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때문에, 손상된 무릎 연골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으로 연골 재생술이 많이 고려되고 있다.
강북연세사랑병원 박영식 원장은 “무릎 연골재생술은 무릎에 남아 있는 연골을 재생시켜 보존 시키는 방법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하거나 자가연골 이식, 미세천공술, 자가연골세포 배양이식술 등이 있다. 손상된 연골의 범위와 크기에 따라 시술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시술 전 손상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가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카티스템 줄기세포 연골재생술은 모든 성인 연령에게 적용이 가능한 치료법이다. 마취 후 절개를 통해 연골 손상 부위에 일정 간격으로 미세한 구멍을 내어 카티스템을 채운 뒤 주변을 도포한다. 연골손상 부위가 넓을 경우 적합하며, 1회 치료로 손상된 연골의 조직의 재생이 가능하고, 수술시간도 1시간 내외여서 당일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자가연골 이식술은 체중부하를 받지 않는 건강한 무릎 연골의 일부를 떼어내 손상 부위에 심어주는 방법이다. 주로 퇴행성 관절염이나 외상으로 관절 연골이 손상된 환자들에게 적합하며, 2㎝ 이하로 손상 범위가 작을 경우 시술이 가능하다. 환자 자신의 연골 조직을 채취하여 수술하기 때문에 부작용 및 거부반응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미세천공술은 관절염의 진행으로 연골이 닳아 없어진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이다. 연골 손상 부위가 1㎝ 이하로 비교적 손상 범위가 작을 경우 시술이 가능하다. 뼈에 구멍을 내어 골수가 흘러나와 골수가 있는 일정부분의 줄기세포가 연골로 재생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자가연골세포 배양이식술은 자신의 연골 일부를 떼어내어 배양 시킨 후 손상된 연골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4㎝ 이상의 비교적 큰 연골 손상에 해당하는 경우 시행한다.
박 원장은 “연골재생술은 환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연골 재생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돼 퇴행성 관절염이 의심된다면 서둘러 정확한 진단 후 적절한 연골 재생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