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훈병원의 환자복과 침대 시트 등의 위생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가유공자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전국 5개 보훈병원의 세탁물 대부분이 김칫국물, 핏자국 등이 묻어있는 등 심각한 파손 상태로 공급되어 왔다고 밝혔다. 이에 항의하는 유공자와 간호사 사이의 갈등도 매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보훈병원 세탁물의 세탁·공급을 담당해 온 A 업체는 계약 체결 주체인 상이군경회 서울시지부와 수의계약을 맺으면서부터 실거래 가격보다 비싼 값을 받기도 했다. 환자복 세탁은 최대 23%, 구매는 최대 49%까지 비싸게 계약을 체결했다.
A 업체는 또 세탁물을 운송하는 차량 안에 세탁 전과 후의 옷을 구분짓지 않고 한꺼번에 처리하여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을 위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 제6조 제2항에 따르면 세탁물 운반차량은 수집용과 납품용으로 구분해 각각 1대 이상씩 갖춰야 한다. 1대의 차량으로 수집·납품을 겸용하려는 경우 적재고를 완전히 구획해 각각 출입문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심 의원은 한국보훈복지공단이 2015년 특별감사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알았음에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문제를 방치했다고 지적했다. 세탁물 위생 문제는 서울의 중앙보훈병원 외에 조치를 위한 곳이 없었고, 뻥튀기 계약은 오히려 2년 동안 평균 10회 이상 쪼개기 계약을 시행하며 단가를 동결하려 했다는 것이다. 심 의원은 “그동안 관행적으로 행해지던 수의계약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 다시 한 번 특별감사를 실시해 관련자를 문책하고 단가를 재조정하는 등 종합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승원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