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 씨(54)는 올 가을부터 어깨 통증을 느끼다가 급기야 팔이 뜻대로 움직이지 않게 돼 병원을 찾았다. 회전근개파열 진단을 받았으며, 관련 치료를 진행 중에 있다.
본격적인 가을 추위가 시작되면서 회전근개파열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부쩍 늘고 있다.
회전근개파열은 회전근개의 섬유화(굳어지는 현상)로 팔 동작이 어려워지고, 통증 유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어깨통증질환이라고 하면 흔히 치료를 미루는 경향이 있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질 때가 많다.
회전근개는 팔의 회전을 담당하는 네 개의 힘줄(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뜻하며, 이중에서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역할의 극상근에서 문제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 젊은 층에서는 스포츠를 즐기던 중의 부상으로 발생할 때가 많고, 노년층의 경우 노령화로 인해 발병하곤 한다.
회전근개파열의 주된 증상은 어깨통증이며, 밤이나 새벽에 특히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인다. 간혹 극심한 통증과 함께 어깨의 열감을 느끼면서 다른 질환으로 오인되기 쉽고, 오십견이나 충돌증후군 등 다른 어깨질환과 같이 나타나는 경우도 흔하다. 때문에 어깨통증 관련 질환은 개인의 자가진단보다 병원을 방문해 자세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특히 갑자기 추워진 날씨로 경직된 힘줄은 가벼운 생활 동작만으로도 손상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 서초구 장덕한방병원 신광순 원장은 “회전근개파열은 어깨 힘줄과 관련된 질환으로, 면역력의 저하나 피로, 스트레스 및 노령화 등의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최근에는 잦은 야근이나 수면 부족, 스트레스의 방치 등과 같은 여러 환경적인 문제로 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신 원장은 “어깨통증질환은 자가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병원을 찾아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면서 “회전근개파열은 체외충격파, DNA주사 등의 정형외과적인 치료와 더불어 침, 한약, 약침 등의 한의학적 치료의 병행으로 섬유화된 힘줄을 부드럽게 하면 수술 없는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재우 기자
회전근개파열의 어깨통증, 갑자기 추워진 날씨 더 조심해야
입력 2017-10-19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