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 항체 검사, 국가 건강검진에 도입돼야"

입력 2017-10-18 18:51
C형 간염 항체 검사를 국가건강 검진에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간질환 전문의 99%, 건강검진 수검자 80%가 그럴 필요성에 공감했다.
 
대한간학회(이사장 변관수)는 제18회 간의 날을 맞아 간질환 관련 대국민 홍보 및 교육, 정책 수립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건강검진 수검자(600명)와 간질환 전문 의료인(119명)을 대상으로 각각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간질환 전문 의료인의 99%는 C형 간염 진단 검사가 국가 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돼야 한다고 답했다. C형 간염의 진단 및 치료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국가정책으로 응답자의 76%가 '국가건강검진에 C형 간염 검진 도입'을 꼽았다.

 그밖에 해결 과제로 C형 간염 최신 치료제 건강보험 급여 확대(43%), C형간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대국민홍보(34%), C형 간염 진단 및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강화(24%), C형간염 등록사업 등 국가관리체계 확립(24%)이 꼽혔다. 

 현재 C형 간염 진료 환자가 많은 지역(35개 시군구)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C형간염 국가검진 시범사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9%가 '유병률이 높은 지역 거주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실효성이 낮다'고 답했다.

건강검진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선 C형 간염에 대한 인지도에 '빨간불'이 켜졌다. 응답자들이 평소 인지하고 있는 간질환 증상은 '피로감이 느껴진다'가 75%로 가장 높았다. '황달이 생긴다(56%)' '입맛이 없고 구역질이 난다(28%)' 순이었다.  간질환 합병증으론 간경화(68%) 간암(67%) 지방간(58%)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다.

 응답자들이 간암 및 간경변증 주요 발생 요인으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음주(79%)였다. 다음으로 흡연(48%) B형간염(39%) 비만(35%)이라고 응답했다. C형 간염을 꼽은 비율은 27%에 그쳤다. 간암 및 간경변증의 주요 발생 원인인 바이러스 간염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바이러스 간염의 전염 경고에 대한 인식 부족도 여전했다. 바이러스 간염은 주로 수혈 및 주사기 재사용 등 혈액을 통해 감염되거나 모체로부터 수직 감염되는 경우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음식 및 식기 공유를 주요 전파 경로로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간학회 변관수 이사장은 "C형 간염의 진단 및 치료 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C형 간염 항체 검사의 국가 건강검진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