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택시 ‘골라태우기’ 논란···박원순 “목적지 非표기 강력 요청”"

입력 2017-10-17 17:24

택시 호출앱 ‘골라태우기’를 일부 기사들이 장거리 승객만 골라 태우는 용도로 악용하고 있다는 지적에 서울시가 승객의 목적지를 표시하지 않도록 카카오택시측에 요청했다고 17일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백재현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백 의원은 “카카오택시가 지난해 4월 전국 택시면허 기사의 82%인 21만명이 가입해 누적 호출수 1억건을 돌파하는 등명실상부 앱 택시의 대명사가 됐다”면서도 “앱의 특성을 이용해 간접 승차거부, 콜 취소 싸움, 불법 웃돈 영업 등의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국토교통위원회 김성태 의원(자유한국당)이 서울시와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택시 승차거부 관련 신고건수는 2015년 서울 57건, 경기 18건 등 총 75건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서울 180건, 경기 46건 등 226건으로 1년만에 3배나 늘었다.

승차거부 관련 처벌 건수도 2015년 20건(서울 14건, 경기 6건)에서 지난해 69건(서울 61건, 경기 8건)으로 증가했다.

이에 박 시장은 “앱에 (승객의) 목적지가 표기되지 않도록 카카오택시 측에 강력하게 요청한바 있다”며 “단거리 콜을 수락하는 기사에겐 인센티브를 부과하고 승객에게 콜비를 부과하는 방안 등을 요청했다”고 답했다.

백 의원은 앱 택시의 각종 정보와 서울시택시정보시스템 연동 등을 통한 개선대책을 추가로 요구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