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우유를 남성은 1잔, 여성은 2잔 마시면 뱃살이 빠지고 콜레스테롤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와 중앙대 식품영양학과 신상아 교수팀은 ‘한국 성인의 우유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 하루에 남성은 우유 1컵, 여성은 2컵 마실 경우(1컵 200ml),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각각 8%, 32% 감소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 38개 종합병원을 방문한 성인 건강검진 수검자 13만420명을 조사한 결과다.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우유 섭취량은 1일 78ml였다. 여성이 남성 보다 17% 가량 마시는 양이 많았다. 연구 대상은 1일 칼로리 섭취량이 남자 800~4000kcal, 여자는 500~3500kcal이며 40~69세 성인이었다.
연구진은 특히 우유 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모든 수치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 기준인 허리둘레 남자 90cm, 여자 80cm 이상일때 해당된다. 고중성지방혈증은 serumTG 150mg/dL 이상을 기준으로 했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몸에 좋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이 남자 40ml/dL, 여자 50ml/dL 이하로 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을 측정했다.
그 결과 남성은 하루 우유 1컵, 여성은 하루 2컵을 마실 경우 아예 마시지 않거나 1컵 미만으로 마실 때 보다 복부비만 위험이 각각 9%, 21% 낮았다. 고중성지방 위험은 남자 16% 여자 24%, 고콜레스테롤혈증 위험은 남자 17%, 여자 39%가 낮았다.
신상아 교수는 “우유 속 칼슘과 단백질, 필수지방산이 지방흡수와 혈액 내 중성지방을 감소시킨다. 몸에 나쁜 저밀도콜레스테롤은 낮추지만 우리 몸에 좋은 고밀도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는 지질 개선 효과도 있다” 고 설명했다.
강대희 교수는 “저지방과 무지방 우유 소비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우유 속 지방 효과를 제대로 규명하지는 못했지만 한국인 13만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 나온 결과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매일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대사증후군 예방은 물론 건강유지를 위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의 저명 학술지 뉴트리언트(Nutrients)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