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OCN의 드라마 ‘처용’의 연출을 맡았던 임찬익 감독과 배우 문성근씨가 1~5회 촬영과 편집을 마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하차한 이유가 밝혀졌다.
당시 퇴출을 통보한 제작사 CJ E&M은 그동안 감독과 배우 교체에 대해 “제작비 부담과 드라마 구성상 문제 때문”이라고 해명해왔다. 하지만 16일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당시 CJ 측은 박근혜 정권의 압박에 굴복해 블랙리스트에 오른 두 사람을 드라마 제작에서 퇴출시켰다.
1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의원실에 따르면 임찬익 감독은 드라마 ‘처용’의 1~5회분 촬영과 편집을 마친 2013년 11월 CJ 측 담당 팀장으로부터 배우 문성근씨의 하차와 편집본에서 문씨 출연분 전부 삭제를 요구받았다. 임 감독은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문씨 역할이 극중 매우 중요해 절대 안 된다고 했더니 며칠 후 나에게 그만두라고 해 쫓겨나게 됐다”고 밝혔다.
CJ 측에서 제작한 드라마 ‘처용’은 2013년 11월 방영이 시작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감독과 배우가 교체되고 1회부터 재촬영·재편집이 진행되면서 2014년 2월 첫 방영됐다. 1~5회 재편집본에서 문성근씨는 완전히 사라졌다. 임 감독은 총 10회분에서 7회분을 제작하기로 계약했으나 4회 분량 촬영 뒤 해고당했다.
CJ E&M 관계자는 “오너(이재현 회장)가 구속된 상황에서 보수인사들과 보수언론들이 CJ를 ‘종북좌파 소굴’이라며 압박했다”며 “사기업이 이런 상황에서 정권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어 회사 차원에서 이들의 퇴출을 결정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2013년 5월 검찰은 조세포탈·횡령·배임 등 혐의로 CJ 본사 등을 압수수색했고 이재현 회장은 같은 해 7월 구속됐다. 또한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은 손경식 CJ 회장을 만나 CJ E&M을 맡고 있던 이미경 부회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VIP(대통령)의 뜻임을 강조했다. 임 감독과 문씨의 퇴출은 같은 해 11월에 이뤄졌다.
문성근씨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CJ는 이후 투자 행위 등을 봤을 때 회사 차원에서 블랙리스트를 실행한 게 분명해 보인다”고 말했다. 문성근씨와 임 감독은 모두 박근혜 정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다.
전재수 의원은 “정치권력이 문화예술 영역에 개입하는 것은 헌법과 법률을 위배하는 행위”라며 “이 사건을 철저히 조사해 박근혜 정부 적폐를 청산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세원 기자 sewon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