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원지도' 앱, "신선" 평가에 "편가르기" 지적도

입력 2017-10-13 12:36

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인 정당발전위원회가 ‘당원지도’를 제작 중이다. 앱이나 웹을 통해 권리당원끼리 위치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인데, 세계 최초의 신선한 시도라는 평가와 함께 "여당이 편가르기를 주도하는 것 아니냐"는 야권의 비판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당원지도, 나는 민주당이다’라는 이름의 위치 기반 소설커뮤니티 서비스를 시작했다. 권리당원들이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고 당에 건의하고 싶은 내용을 메시지로 보낼 수 있다. 주변에 누가 민주당원인지, 당원이 운영하는 식당이나 사업장이 있는지 알 수 있어 당원 간 연결을 가능케 한다. 정당 차원에서 이런 시도를 한 건 민주당이 처음이다.

당원지도를 처음 구상한 최재성 정발위원장은 9월 페이스북을 통해 “정발위에서 추진하는 ‘당원 공동체 사업’ 중 하나인 민주당원 소상공인 지도 구축을 통해 당원카드 발행 및 이용이 가능하며, 추후 당원모임 등록 지도도 구축해 모임 간 교류 등을 활성화할 것"이라며 "당원 공동체 구축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3일 서울 강서구 음식점에서 ‘당원가게 1호 지정식’에 참가하며 당원지도 제작에 힘을 실었다. 당원가게는 가게 주인이 당원이라는 것만 확인되면 웹이나 앱에서 가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더’라고 적힌 스티커를 가게에 붙여 시민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당시 추 대표는 “‘나는 민주당이다’ 운동은 당이 당원을 인정하고, 당원이 당을 인정한다는 인증”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용호 국민의당 의원은 지난 7일 “마치 민주당원 가게가 아닌 곳에서는 밥도 안 먹고 물도 안 사겠다는 것처럼 들린다”면서 “집권당으로서 너무 선거만 신경 쓰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 역시 “당원 결집에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긍정적인 측면보다 정치의 상업화라는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여선웅 정발위원은 “당원지도에 등록했다고 해서 당이 당원들에게 주는 것은 하나도 없다. 당원지도는 당원들의 자발적 커뮤니티를 돕는 플랫폼일 뿐이고, 콘텐츠는 당원이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는 민주당이다’ 애플리케이션은 현재까지 시범운영 중이다. 공식 버전은 18일 정식 공개될 예정이다.

우승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