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당시 광주교도소 암매장지 10월 발굴할까 ‘관심’

입력 2017-10-09 10:30
5·18 행불자 유골이라고 의심되는1989년 1월 부엉산 유골 발굴현장 사진 = 박용수 전 CBS 기자 제공

5·18기념재단-법무부 오는 12일 면담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들의 암매장지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안팎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달 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9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오는 12일 재단 관계자와 법무부 담당자가 만나 광주교도소 안팎 발굴 조사와 관련한 면담을 갖기로 했다.

재단 측은 최대한 이른 시일 내 교도소 안팎의 암매장 발굴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법무부에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재단은 법무부의 허가가 떨어지면 10월16~20일 교도소 현장조사, 10월말 발굴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5월 단체는 양 측의 면담이 사실상 박상기 법무부 장관의 지시로 이뤄진 만큼 교도소 내 발굴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서 지난 달 27일 법무부는 재단이 요청한 교도소 현장 조사와 발굴 작업을 한 차례 거부했다. '현재 국회에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2건이 발의돼 심의 중이기 때문에 법안의 심의 경과 등을 지켜보면서 관련 절차에 따라 조치하겠다'는 게 이유였다.

다음날 5월 단체 대표들이 상경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원내대표 등을 만나 협조를 요청했고 이 내용이 박 장관에게 전달됐다. 이후 기념재단은 박 장관의 요청에 따라 법무부에 협조 공문을 다시 보냈다.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박 장관이 광주교도소 암매장지 발굴 조사 요청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며 “이번 면담은 사실상 박 장관의 지시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들이 주둔했던 곳이다. 5·18 직후 교도소 관사 뒤에서는 시신 8구, 교도소 앞 야산에서는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발견됐다.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80년 5월31일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이른바 ‘교도소 습격 사건’으로 민간인 27명(보안대 자료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돼 있다. 단순 계산으로도 16~17명의 신원과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최소 52명이 교도소 내에서 사망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재단은 현재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수감 중이었던 재소자를 통해 교도소 내부 암매장 장소에 대한 증언을 확보했다.

또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주둔했던 3공수여단 부대원이 남긴 메모에서 암매장 관련 약도를 찾았다. 약도로 표시된 곳은 교도소 밖, 법무부 소유 땅이다. 교도소 안팎 모두 법무부의 허가가 있어야만 발굴 조사가 가능하다.

재단은 광주교도소 외에 7공수여단이 주둔했던 제2수원지 상류쪽과 화순 너릿재 인근 등도 올해 내 발굴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