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LG전자 세탁기에 대해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발동을 검토하면서 한국 정부와 업계도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가전업계에 따르면 정부 및 업계 관계자들은 11일 대책회의를 열어 미국의 세이프가드 발동 시 업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회의에선 미국 시간 19일로 예정된 공청회에서 국내 가전업계의 입장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한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수입산 대형 가정용 세탁기가 자국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고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19일 공청회를 거쳐 12월 4일까지 구제조치에 대한 권고 보고서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ITC의 보고서를 토대로 내년 초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세이프가드가 실제 발동될 경우 미국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등의 피해를 줄 것이라며 ITC의 결정에 반발하고 있다. 세이프가드가 발동될 경우 수입 물량을 제한하거나 관세를 인상시키는 등의 조치가 뒤따를 수 있다.
산업계에선 이번 결정이 지난달 22일 ITC가 수입 태양광전지가 자국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끼친다는 결정에 뒤이어 나온 점을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행정부 집권 이후 강화되는 보호무역주의 흐름 속에서 태양광 가전 등에 이어 다른 업계로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美 세탁기 세이프가드 검토에 정부 업계 11일 대책회의
입력 2017-10-07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