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톈안먼(天安門) 사태들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국내 영화 ‘택시운전사’를 상영 금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인터넷 검색조차 막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세계 네티즌들의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홍콩 빈과일보는 최근 중국 당국이 톄안먼 사태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영화 ‘택시 운전사’를 상영 금지한 것은 물론 인터넷에서 그 흔적조차 지웠다고 5일 보도했다.
톈안먼 사태는 중국 정부가 지난 1989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며 학생과 시민 100만여 명을 무력으로 진압해 많은 인명피해를 낸 사건이다. 중국 당국은 톈안먼 사태 논의 자체를 금기시한다.
지난달 중국에서 개봉한 ‘택시 운전사’는 인터넷 사이트 평점 10점 만점에 9.1점을 받을 만큼 호평을 이어갔다. 하지만 최근 한 네티즌이 톈안먼 사태를 떠올리게 한다고 지적하자 이달 초부터 중국 내 상영이 전격 금지됐다.
지난 3일에는 온라인 사이트에서 ‘택시 운전사’페이지가 사라졌다. 웨이보에서도 ‘택시 운전사’를 언급한 글은 즉시 삭제됐고 검색 사이트 바이두에서도 관련 자료가 검색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오는 18일 열리는 중국 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를 앞두고 민감한 뉴스의 전파를 차단하고 여론 통제를 강화하려는 당국의 조치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전세계 네티즌의 비난을 쏟아졌다. “중국도 아닌 다른 나라의 민주화운동을 다뤘다는 이유로 영화 상영이 금지된 것은 말이 안 된다” “통제해도 불법 경로로 다 본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 하지 마라”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실제로 현지에선 불법 경로를 통해 영상 공유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영화 ‘택시운전사’는 1980년 5‧18광주 민주화운동을 취재해 전세계에 알린 독일 기자 고(故) 위르겐 힌츠페터와 그들 태우고 광주까지 간 서울의 택시운전사 고 김사복씨의 실화를 다룬 영화로 지난 8월 개봉해 1200만 관객을 끌어 모았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