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무대서 북한 비난 이어져… "핵·미사일 활동 중단해야"

입력 2017-10-06 06:15
유엔 군축회의에서 핵·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을 향한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6일 보도했다. 한때 북한과 우방국이었던 나라들도 이런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는 지난달 28일부터 제72차 유엔 총회 제1위원회 군축 일반토의가 진행 중이다. 상당수 참여국이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활동을 언급하며 자제를 촉구했다.

애니타 프리드 미 국무부 군축·검증·이행 담당 차관보 대행은 회의 셋째 날인 지난 3일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장착용 수소폭탄 시험과 두 차례의 ICBM 시험을 하고 핵무기 개발을 위한 플루토늄과 고농축 우라늄 생산도 지속하고 있다”면서 “전 세계가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북한”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행동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며 동북아뿐 아니라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프리드 차관보 대행은 “미국은 외교적 해법을 찾고 있으며 북한 정권 교체나 붕괴, 한반도 통일 가속화, 북한 지역에 군대를 보내기 위한 구실을 원치 않는다”면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대북 외교적·경제적 압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잔 바우먼 독일 외교부 군축·무기 통제국 부국장은 2일 “독일은 대북 제재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모든 노력을 지지한다”면서 “모든 나라들이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인 나라들도 북한을 비난했다. 수키 수크볼드 주유엔 몽골대사는 “북한의 도발은 국제사회의 의지에 반한다”면서 “몽골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원칙적 입장을 거듭 강조한다”고 밝혔다.

미카엘 울리아노프 러시아 외교부 비확산 무기통제국장은 최근 채택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북한의 핵·미사일 시험 중단 대신 한·미가 합동군사훈련을 중단해야 한다는 이른바 ‘쌍중단’이 필요하다고도 주장했다.

이런 목소리에 대해 북한 대표는 지난 3일 “미국이 세계 평화와 안전을 바란다면 자신들의 핵무기부터 먼저 폐기해야 한다”면서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미국과 동등한 힘의 균형을 갖춰 세계 평화와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4일에는 몇몇 나라들이 한반도 문제의 근본을 이해하지 못한다며 미국과 프랑스, 일본 등 북한을 규탄한 나라를 비난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