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간 핫라인이 1년 7개월째 중단된 상태인 것으로 5일 드러났다.
국회 외교통일위 박주선(국민의당) 의원이 통일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남북간 핫라인은 북한이 우리측의 개성공단 폐쇄조치에 반발해 가동을 중단한 지난해 2월 12일부터 현재까지 1년 7개월여 간 중단된 상태다.
이처럼 남북간 대화 채널이 사라지면서 우리측은 필요시 판문점에서 핸드마이크나 육성을 통해 북한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핫라인은 남북적십자회담 예비회담 과정에서 합의돼 1971년 처음 설치됐다. 이번까지 포함해 6차례 중단됐다. 중단 기간으로 보면 이번이 3번째로 길다.
남북간 핫라인이 가장 오래 중단된 시점은 북한이 일방적으로 남북총리회담 실무접촉 중단을 발표한 1980년으로 1984년까지 4년간 계속됐다. 또 이른바 도끼 만행사건 이후 북한에 대한 단절 조치로 1976년부터 3년 5개월간 남북 핫라인이 중단된 바 있다.
박 의원은 “정부는 조속히 남북 핫라인이 가동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