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가뭄현상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가뭄 피해면적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제주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해 가뭄 피해면적은 전년과 비교해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수년간 서울 면적(6만530㏊)보다 1.2배나 더 넓은 지역에서 가뭄피해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위 의원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가뭄발생 및 피해현황’자료에 따르면 2012년 이후 5년 간 총 7만1225㏊에서 가뭄피해가 있었다. 2008년 이후 가뭄문제 해결을 위해 쓰인 돈도 2조8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연도별 가뭄피해 면적은 2012년 1만1500㏊, 2013년 7368㏊, 2014년 5173㏊로 2013년부터 다소 하락세를 보였지만 2015년 7358㏊, 2016년 3만9826㏊로 다시 급증했다.
주요 피해사례는 ‘논물마름’과 ‘밭작물 시듦’과 같은 현상으로 농민들의 경제적 활동 터전인 ‘논’과 ‘밭’에서 대부분의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 지역별 가뭄 피해면적은 전남이 1만433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제주 1만3098㏊, 전북 4432㏊, 충남 4008㏊, 경북 2201㏊, 충북 621㏊, 울산 190㏊, 세종 150㏊ 순이다.
정부는 지난 수년간 가뭄대응을 위한 사업으로 한발대비용수개발사업, 농촌용수개발사업, 수리시설개보수사업(준설) 등을 추진해 오고 있다.
하지만 지난 9년간 2조7604억원이라는 예산이 투입됐음에도 가뭄문제 해결에 뚜렷한 진전이 없는 것은 기존 가뭄대책이 현장에서 크게 효용성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위성곤 의원은 “그동안의 가뭄대책은 가뭄 발생이후 용수급수시설 설치 등 사후약방문식 대처와 댐과 보 건설과 같은 전통적 수자원 개발을 활용하는 메가 정책이 대부분이었다”며 “최근 발생한 가뭄은 급격한 기후변화에 기인한 현상인 만큼 정부는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선제적·항구적 가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기후변화로 이어지는 가뭄, 피해면적도 급증
입력 2017-10-04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