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살인 개미’ 대응 논의…긴급 차관회의 개최

입력 2017-10-04 00:24 수정 2017-10-04 09:46
지난달 28일 부산 감만부두에서 살인개미로 불리는 맹독성 붉은 외래불개미 발견돼 정부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살인 개미’로 불리는 맹독성 외래 붉은불개미와 관련해 긴급 차관회의를 열고, 추가 대응사항을 확정했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차관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그간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환경부 차관,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등이 회의에 참석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부산항 감만부두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발견된 개미의 명칭을 ‘외래 붉은불개미’로 통일해 부르기로 했다.

정부는 감만 부두 전체를 87구역으로 나눴고 이날 현재 56구역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 현재까지 외래 붉은불개미가 추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정부는 전국 22개 항만에서 외래 붉은불개미가 발견되지 않는지 예찰을 강화했다. 4일부터 예찰 트랩을 대폭 늘리고 전문가도 4명에서 10명 이상으로 늘린다.

정부는 외래 붉은불개미 대응을 위해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운영하기로 했다.

외래 붉은불개미는 몸속에 강한 독성물질을 가지고 있다. 날카로운 침에 찔리면 심한 경우 현기증과 호흡곤란 등의 과민성 쇼크 증상을 유발한다. 북미에서는 한해 평균 8만명 이상 외래 붉은불개미에 쏘이고 100여명이 사망해 ‘살인 개미’로 불리기도 한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