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은 역대 최장인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도 주요 사건 수사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급박하게 진행됐던 그간 수사를 정비하고, 연휴 이후 수사 연속성 및 동력 확보를 위해 기록 등을 검토 중이다. 관련자 진술 청취 작업도 이뤄지고 있다.
3일 현재 서울중앙지검에는 이명박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각종 정치공작 활동 의혹을 비롯해 박근혜정부 화이트리스트 사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경영비리 사건, 고(故) 백남기 농민 책임자 규명 등 굵직한 수사가 진행 중이다. 연휴 기간 관련자 소환 조사는 물론 연휴 이후 본격화할 다음 수사 채비에도 힘을 쏟고 있다.
공안2부와 공공형사수사부가 주축이 된 국정원 수사팀은 연휴를 대부분 반납한 채 출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의 정치개입 정황이 계속해서 드러나는 상황에서 검찰의 부담은 커진 상황이다. 국정원의 2012년 대선 개입 사건이 ‘민간인 사이버외곽팀 동원’ 사건으로 확산된 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공영방송 장악 시도’, ‘국방부 사이버사령부 정치 개입 사건’으로 번지고 있다.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는 하루가 멀다 하고 검찰로 관련 자료를 보내고 있다. 수사팀이 명절 연휴에도 긴장의 끈을 늦추지 못하는 이유다.
검찰은 지난 19일 특가법상 국고손실 혐의로 구속된 민병주 전 국정원 심리전단장을 연휴 기간 내에 구속 기소할 예정이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 역시 공범으로 추가 기소할 방침이다. 현재 공소장 작성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휴 이후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등 정치 공작 피해자 조사도 예정돼 있어 준비 작업도 필요하다.
3차장 산하 특수 부서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국정농단 사건 공수 유지를 주로 담당하는 특수4부는 박근혜 전 대통령 재판에 ‘올인’하고 있다. 박 대통령 구속 기간이 추석 연휴 직후인 오는 16일 자정에 만료되는 탓에 추가 구속영장 발부가 절박하다. 특수3부 역시 박근혜정부 화이트리스트 사건 수사로 바쁜 가운데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의 재소환도 검토 중이다. 방위사업수사부의 KAI 경영비리 수사도 마무리 작업에 힘쓰고 있다.
1차장 산하 형사3부는 고(故)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 처리로 연휴를 보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추석 이전에 백남기 농민 사건 처리를 목표로 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며 “추석 전에 모든 조사를 완료하고, 연휴 뒤 10월 안에 형사처벌을 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