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80%대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이달 연이어 하락세를 보이다 4주만에 간신히 반등했다. 전임 대통령들과 비교해 여전히 양호한 수치이지만 유난히 높았던 취임초 지지율에 비해 상승세가 꺾인 배경으로 북한 문제와 인사 파동이 꼽힌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9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41.08%란 비교적 낮은 득표율로 당선됐지만 취임 직후 국정수행 기대율은 74.8%로 치솟았다. 이후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취임 2주차 81.6%, 3주차 84.1%까지 올라 역대 대통령 가운데 최고 수준을 보였다. 이후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인사 참사를 겪으면서 조금씩 하락했지만 지난달까지도 70%대 안정적인 지지율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문 대통령 취임 넉달째인 현재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수위는 점점 올라가고, 새 정부 들어 차관급 인사 낙마자만 7명 넘게 속출하면서 국정수행 지지율은 60%대로 주저았다. 국정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국회 관계, 국제 정세, 정부 정책 등 다양하지만 국민들이 곧바로 체감하는 안보 불안감과 눈높이에 어긋나는 청와대 인사가 장기화되면서 지지율 직격타로 작용했다.
리얼미터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9월 4주차 국정수행 지지율은 68.6%로 4주만에 3%p 상승했다. 한달내내 이어진 지지율 하락을 극복한 배경에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인사 논란이 잠잠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기점으로 ‘전술핵무기 재배치 주장’을 비롯한 안보 논란이 줄어들고 추석을 앞두고 국내 정치로 이슈가 전환된 영향도 있다.
리얼미터는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의 노무현 전 대통령 막말 논란, 이명박 정부 블랙리스트 및 대선개입 의혹 수사 보도의 확산, 문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 회동 추진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안보정국이 조금씩 약화되고 있어 지지율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문 대통령의 9월 3주차 국정수행 지지율은 65.6%를 기록하며 4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 성과에도 안보 불안감과 미국·북한의 거친 설전 영향으로 지지율이 하락을 거듭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같은 기간 2.6%p 오른 29.4%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의 9월 2주차 국정수행 지지율은 67.1%였다. 북한의 제6차 핵실험 여파가 가시지 않은 가운데 지난 15일 탄도미사일 발사로 안보위기가 심화된 영향이 컸다. 여기에 지난 11일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임명동의안 국회 부결, 지난 15일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자진사퇴 인사 악재가 겹쳤다.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은 박 후보자 사퇴 직후 브리핑을 열어 인선 사과를 하면서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준을 국회에 호소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간신히 국회를 통과해 25일 임명됐다.
9월 첫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안보 불안감과 인사 논란 속에 취임 후 처음으로 60%대로 떨어졌다. 지난 3일 평온한 일요일 아침을 깨운 북한의 제6차 핵실험은 우리나라에도 여진이 감지될 정도로 온국민을 불안에 떨게 했다. 북한의 거듭되는 도발 상황에서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자질 논란이 불거지고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준을 둘러싼 진통이 커지면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크게 떨어졌다.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1일까지 집계된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73.1%였다. 지난달 26일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발사체 분석을 둘러싼 '방사포 혼선'이 불거지면서 지지율은 70% 초반까지 내려앉았다. 이유정 헌법재판관 후보자가 거액의 주식 시세 차익 논란으로 지난 1일 불명예 자진 사퇴한 사건도 문 대통령 지지율에 타격을 주었다. 이 시기 불거진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자질 이슈도 청와대 인사시스템 검증 부실 논란을 일으키면서 국정수행에 악재로 작용했다.
연말까지 100여 일이 남은 가운데 앞으로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전망은 어떻게 될까. 역대 어느 정권도 임기가 지날수록 지지율은 하향 곡선을 그려왔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을 지지하면서도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과제에 따라 이탈층이 누적되는 영향도 있다. 다만 문 대통령이 대부분의 연령과 지역에서 고른 지지를 받고 있고 새 정부 인선이 어느정도 마무리되면서 지지율 하향세는 완만하게 이어질 전망이다.
권순정 리얼미터 조사분석실장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북한의 거듭된 핵미사일 도발과 청와대 인사파동 등 워낙 큰 사건이 집중돼 근래 4주 연속 하락세 같은 수치는 드물 것으로 관측된다”면서 “최근 지지층 추이를 보면 북한의 도발이 있을 때마다 진보는 진보대로, 보수는 보수대로 진영이 나뉘어 핵심지지층이 결집되는 모양이 뚜렷했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당분간 60% 중반대 횡보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