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적폐청산위원회가 28일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가 KBS에 인사개입을 한 정황과 민주당 불법도청 사건과 관련해 검찰에 압력을 가한 사실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적폐청산위는 이날 국회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고 당시 청와대가 생산한 문건을 다수 공개했다. 이재정 의원은 문건들 가운데 2011년 9월 11일 작성된 ‘KBS 검토사항’ 문건을 제시하며 “청와대 홍보수석과 홍보기획비서관이 함께 작성한 보고서로 추정되는데, 내용을 보면 당시 프로그램에서 좌파적 세력의 활동이 강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실려있다”고 소개했다.
이 의원은 해당 문건에 당시 김인규 KBS 사장에 대한 평가가 실려있다는 점을 밝히며 “김 전 사장의 거취, 교체까지 검토하고 있다는 것과 그에게 인사개혁을 주문하자는 것까지 나온다. 말이 개혁이지 결국 인사 조치를 요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시 민주당 최고위 도청사건과 관련해 아직 수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이 문건을 보면 ‘검찰 수사 발표에서 무혐의 처리로 부담을 경감토록 한다’는 내용이 있다”며 “이후 검찰이 실제로 무혐의 결정을 내렸는데, 검찰을 압박했는지 수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문건에 ‘KBS 내 좌파 성향 주요 간부’라는 제목의 명단도 나와 있으며, 일부에 대해서는 ‘친민주당 좌파’라는 설명도 달려있다고 전했다.
적폐청산위 박범계 위원장은 “이 의원이 국가기록원과 수차례 접촉한 끝에 당시 국정원, 경찰, 청와대 등에서 만든 문건을 확인했다”며 “내용을 보면 이명박 정부의 집요한 관권 선거 개입활동이나 언론 탄압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현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