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도 홀몸 어르신 공공주택 추진 요구 솔솔

입력 2017-09-26 14:49 수정 2017-09-26 23:09
문재인 정부가 2018년부터 홀몸 어르신 공공임대주택을 1만가구씩 짓는다는 정책을 제시함에 따라 인천에서도 주민들이 홀몸 어르신 공공임대주택을 추진하자는 제안을 참여예산제도를 활용해 제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인천 남구 주민들에 따르면 서울시는 홀몸 어르신 공공주택을 지자체별로 구청장이 관심을 갖고 자체예산으로 진행하는 등 붐이 조성되고 있으나 인천에서는 아직까지 1곳도 추진되고 않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의 경우 SH공사와 서울시가 협약을 체결하고 주택기금을 활용해 짓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인천 남구 용현3동 주민들은 참여예산위원회에 비예산 사업으로 홀몸 어르신 맞춤형 공동주택을 남구 관내 가능한 장소에 추진해 줄 것을 제안했다.

주민들의 제안은 공동취사·공동쉼터·공동 부뚜막 등의 쉐어 공간 구성, 태양광·옥상 텃밭 등 차별화된 시설 설치,  개인별 또는 2~3인용 침실방 설치 등이 가능한 수억원 수준의 매입임대 공동주택을 확보해 공동체 형성에 기여해달라는 것이었다.

주민들은 LH에서 매입시 비예산 사업으로 가능할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홀몸 어르신 맞춤형 공동주택이 필요한 이유는 홀몸 어르신의 고립된 주거로 우울증이 생겨 정신건강이 악화되는 상황을 개선해 공동생활을 할 경우 치매예방 등의 효과로 비용절감 효과가 클 것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공동생활이 가능한 노인주거문화가 만드러질 경우 이웃이 이웃을 돌보고 소통하는 공동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천 남구 노인장애인복지과 검토결과는 장기과제로 분류돼 주민들의 요구가 사실상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업부서에서는 “노인복지주택은 노인을 대상으로 급식 및 주거의 편의 등을 제공할 목적으로 민간사업자가 전액 자부담으로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비는 입소노인 본인부담으로 조달해 운영하는 30가구 이상 시설”이라며 “정부가 임대형 노인복지주택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어 구 단위 추진 및 소요예산 등으로 단기간의 추진은 어렵다”고 밝혔다.

인천시 주거복지 기본계획을 살펴본 결과 시설거주 및 홀몸 어르신 규모는 4만3983명 규모였다.

 주거복지 실질 취약계층은 37만1660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인천에서도 홀몸어르신 맞춤형 공공임대 주택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