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현장에서 진료활동을 하는 우리나라의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5년 현재 한국의 임상의사수는 인구 1000명당 2.2명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에 이어 의사수가 적은 국가는 폴란드(2.3명), 일본·멕시코(2.4명). 미국·캐나다(2.6명), 영국·슬로베니아(2.8명), 아일랜드(2.9명) 등의 순이다. OECD 평균은 3.3명이다.
의사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오스트리아(5.1명)이다. 노르웨이(4.4명), 스웨덴·스위스(4.2명),독일(4.1명), 스페인(3.9명) 이탈리아·아이슬란드(3.8명) 순이다.
'OECD 건강통계'(Health Statistics)를 기반으로 한 수치에는 한의사도 포함됐다.
의사 수 부족 현상의 해결은 의사들의 반발로 쉽지 않다. 의대 입학정원을 마음대로 늘릴 수 없는데다 의료인력의 지역 불균형도 심각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7년 주요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연구 결과에서 2020년에 1800명, 2013년에는 7600명 의사가 모자랄 것이라고 추산했다.
특정 지역으로의 의료인력 쏠림현상도 큰 문제다.
복지부의 '제1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16년~2020년)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경북 116명, 울산 13명 등으로, 서울은 267명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적정 규모의 의료인력이 충원될 수 있도록 신규 인력 배출을 늘리고 유휴 인력 재고용을 추진하며 경력 단절을 방지하는 등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 관리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태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