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답형(주관식)을 채점할 수 있는 기초 기술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늘(22일)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을 개발해 4건의 특허를 따냈다고 발표했다. 평가원측은 이 프로그램에 대해 "한국어 자연처리 기술과 기계 학습 기반 자동 분류 원리를 활용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면서 "띄어쓰기와 축약된 단어 확장, 기호 제거 기능과 같은 기존의 한국어 처리 기능을 바탕으로 만들어내어 2~3문장 정도의 답안은 거의 정확하게 채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평가원은 또 "2016년 국가수준 학업난이도수준평가 표집 채점에 적용해봤는데 단어와 구(句) 수준의 답을 요구하는 문항에 국어와 과학은 100%, 사회는 99.6%로 나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장이 길어질 경우에도 정확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문장 단위로 길이가 길어질 경우 답안 일치도가 과목별로 89%~99%로 다소 떨어졌다. 평가원은 이에 대해 2차, 3차 채점 과정을 거친다면 더 정확한 채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기술이 바로 수능이나 대규모 시험장으로 도입되는 것은 아니다. 펜으로 답을 쓰면 그 문자를 인식하는 작업이 더 필요해 대규모 시험에서는 태블릿pc를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노은희 평가원 연구위원은 "손으로 쓰지 않고 태브릿pc등을 이용해 답안을 작성한다면 충분히 수능이나 대규모 시험에서 서답형 문제를 채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태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