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본부장은 우선 ‘코리아 메이드’ 전략의 전환을 과제로 꼽았다. 윤 본부장은 “기존 수출 제품 중에서 고용창출이 높은 분야의 팩터들을 어떻게 잡아내고 선택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수출 대상국에 무엇이 필요한지, 다른 나라와 다른 점은 무엇인지 확인해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선 정부의 정책과 민간의 사업 모델·기술 등이 체계적으로 결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본부장은 “처음 진입 당시에는 정부가 상대국과 ‘G2G'(Government to Government·정부 대 정부)로 시장을 뚫어줘야 하지만 그 이후에는 기업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정부의 역할은 기업이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로 제한돼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역량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람에 대한 투자도 강조했다. 윤 본부장은 “글로벌 시장 곳곳에 전문가를 육성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해 한국기업의 해외진출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