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로부터 분리독립을 추진하고 있는 쿠르드자치정부(KRG)의 마수드 바르자니 수반이 이라크 정부를 향해 3일 안에 주민투표를 대신할 안을 내 놓으라는 최후 통첩을 내렸다.
19일(현지시간) 쿠르드계 아랍언론 루다우(RUDAW)에 따르면 바르자니 수반은 이날 이라크 소란에서 진행된 독립운동 집회에서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이라크 정부의 대안이 없다면 주민투표를 강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민투표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은 미국과 유럽 등 국제사회가 지지하고 이행을 보장하는 구체적인 에르빌과 바그다드 간 양자 협약”이라며 “아직 이라크 정부는 그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고, 2~3일 안에 이를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바르자니 수반은 “주민투표의 목적은 독립을 원하는 우리의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리는 일”이라며 “(이라크 정부가)어떤 대안을 내놓더라도 궁극적으로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만약 이라크 정부가 이에 동의해 대안을 제시한다면 우리 쿠르드족은 (주민투표가 예정된) 25일을 축하의 날로 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KRG는 이라크 내 쿠르드족 분리독립을 위해 오는 25일 KRG가 자치권을 행사하는 도후크와 아르빌, 술라이마니야 등 3개주와 쿠르드계 주민이 많이 살고 있는 키르쿠크주와 막무르, 신자르, 카나킨시 등에서 주민투표를 실시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라크 정부 뿐 아니라 자국 내 쿠르드족 이탈을 우려한 터키 등 국제사회의 반발에 부딪혔다. 이라크 인구의 약 15~20%를 구성하는 쿠르드족은 민족국가를 형성하지 못하고 이라크와 터키, 시리아, 이란 등에 흩어져 살고 있다.
이라크 대법원은 지난 18일 “특정 지역이나 지방의 분리 추진은 위헌”이라며 주민투표를 중단하라고 판결했다.
바르자니 수반은 이에 대해 “이라크 헌법은 서문에서 ‘자유로운 연합’을 보장하고 있다”며 주민투표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투표를 중단하라는 국제사회 및 지역사회의 요구는 그들이 우리가 단순히 이라크 정부를 향한 압박 카드로 ‘주민투표’를 꺼내 들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제사회가 쿠르드족에 투표를 연기하도록 설득하고 있지만 문제는 그들이 아니라 이라크 정부”라며 “우리는 이라크 정부와의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팔라 무스타파 바키르 KRG 대외관계장관은 루다우에 “터키와 프랑스가 유엔과 함께 쿠르드족 분리독립 주민투표를 연기하기 위한 공동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설득력 있는 대안을 제안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