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은 평균적으로 60대 초반까지 일하기를 희망하지만 50세 정도가 되면 직장에서 밀려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직장인 781명을 대상으로 예상 은퇴연령을 조사한 결과 평균 50.2세였다. 그러나 희망하는 은퇴연령은 61.1세로 나타났다. 예상 은퇴연령과 희망 은퇴연령 사이에는 10.9세라는 간극이 있었다.
성별을 구분해 따져 봐도 예상 은퇴연령과 희망 은퇴연령 사이에는 10년 정도의 격차가 있었다. 남성의 경우 희망 은퇴연령과 예상 은퇴연령이 각각 평균 62.9세와 51.6세로 11.3세의 간극이 있었고, 여성의 경우 58세와 47.9세로 10.1세의 간극이 있었다.
응답자들 가운데 74.6%는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정년까지 일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답해 언제든지 직장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종별로는 디자인(46.7세), 기획(47.8세), 마케팅·홍보(48.7세), IT·정보통신(49.0세), 서비스(49.6세)직 등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자신이 40대에 은퇴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기타 전문직(52.4세)과 생산·기술직(52.3세)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은 자신이 비교적 오래 직장에 남아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직장인들은 근로기준법상 정년인 60세까지 ‘롱런’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절반 이상이 ‘지속적인 자기계발(58.6%)’을 손꼽았다. 2위는 30.9%로 ‘꾸준한 업무성과’로 나타났다. 이어 ‘끊임없는 현업 실무 투입(30.0%)’ ‘직장 내외 인맥 형성∙관리(22.5%)’ ‘신기술 습득(21.6%)’ ‘트렌드 습득∙젊은 감각 유지(20.0%)’ 등이 뒤를 이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