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도 “북한 OUT”… 잇단 대사 추방에 北 “자력갱생”

입력 2017-09-19 09:06 수정 2017-09-19 09:16
사진=뉴시스

스페인이 자국 주재 북한 대사를 추방한다. 멕시코, 페루, 쿠웨이트 등 중남미와 중동에 이어 유럽까지 북핵 도발을 규탄하며 북한 압박에 동참했다. 대외 경제·외교 고립 심화에 따른 위기감이 확산되면서 북한 김정은 정권은 ‘자력갱생’을 외치며 내부결속에 주력하는 모양새다.

스페인 정부는 18일(현지시간) 북한 6차 핵실험을 규탄하며 자국 주재 북한대사에게 추방 명령을 내렸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외교부는 성명에서 “오늘부로 북한 대사는 ‘외교상 기피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언됐다”고 밝혔다. 스페인 주재 북한 대사는 오는 30일까지 출국해야 한다.

스페인 정부는 지난 8월에도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세계 평화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비판하며 대사관 인력을 줄이라고 통보한 바 있다. 스페인 주재 북한대사관은 2014년 개설됐다.

앞서 멕시코, 페루, 쿠웨이트 등이 북한 대사 추방에 앞장섰다. 멕시코는 지난 7일 “국제법을 위반하고 아시아와 전 세계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 북한의 최근 핵 활동에 절대적 반대를 표명한다”면서 자국 주재 김형길 북한 대사를 외교상 기피인물로 지정하고 72시간 이내로 떠나라고 추방 명령을 내렸다. 여기에 페루가 동참했고, 중동에서는 쿠웨이트가 서창식 북한 대사에게 추방을 통보했다. 쿠웨이트는 북한 외교관 인력도 8명에서 4명으로 축소하라고 요구했다.

대사 추방 외에 경제고립도 이어지고 있다. 북한 3대 무역국 중 하나인 필리핀은 대북 무역 중단을 전격 발표했다. 태국도 북한과의 경제 관계를 대폭 축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움직임이 이어지면서 김정은 정권은 내부결속에 주력하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로운 제재 결의안(2375호) 채택 이후 김정은 정권은 ‘자력 갱생’을 강조하고 있다. 그만큼 국제사회에서의 고립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북한 외무성은 18일 대변인 담화에서 “지금 미국의 대조선 제재책동은 우리의 대외경제 관계는 물론 인민 생활과 직결된 공간들까지 전면 봉쇄하는 무모한 단계에 이르렀다”며 “우리가 제재 따위에 흔들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기 그지없는 망상”이라고 밝혔다. 담화는 “미국과 그 추종세력이 대조선(대북) 제재 압박 책동에 매달릴수록 국가 핵무력 완성의 종착점으로 질주하는 우리의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이날 “지금이야말로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100% 자급자족해 나가야 할 때”라며 “자력갱생의 길로 전진해 반미 대결전과 사회주의 강국 건설의 최후 승리를 앞당겨 나가자”고 독려했다. 이는 유엔 제재로 더욱 궁핍해질 주민들의 동요를 다잡고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의도로 보인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