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시진핑(習近平) 지도부 출범 이래로 중국에서 각종 부패비리로 처벌받은 공산당원이 119만명에 달한다고 CCTV, 인민일보 등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진핑 주석은 그간 부패척결 성과를 내세우며 지도력을 과시하고 있지만, 시 주석이 자신의 정치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주로 정적에 대해 사정의 칼날을 겨눈다는 비판도 잇따른다.
현지 언론들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재임 2기를 시작하는 10월 18일 제19차 당 대회를 앞두고 지난 5년간 펼쳐진 부패척결 운동으로 수많은 공산당원이 처분을 당했다고 전했다. 중앙TV 반부패투쟁 특별 프로그램 ‘순시이검(巡視利劍)’은 뇌물수수와 공금유용, 정실인사 등 ‘중대 기율위반’으로 적발된 간부는 사장(국장)급 이상이 1225명, 처장(과장)급 이상은 8684명에 이르렀다고 전했다.
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비리와 연루돼 처분 및 징계를 받은 공산당원이 119만명으로 집계됐다고 소개했다. 여기에는 정치국원급 이상으로 낙마한 거물도 5명이나 있다.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 보시라이(薄熙래) 전 충칭시 당서기 겸 정치국 위원, 궈보슝(郭伯雄)과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 겸 정치국원, 링지화(令界劃) 전 정협 부주석 겸 당 통일전선부장이다.
이외에도 이들 5명과 친분·연고 등으로 얽혀 있는 인사들이 시 주석의 부패척결 대상이 됐다. 이 때문에 시 주석이 자신의 정치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정적세력에 대해서 주로 사정 칼날을 휘둘렀다는 비판이 나온다.
시 주석은 당총서기에 취임하자마자 “호랑이든 파리든 국가와 당을 멸망에 이끌게 하는 부패세력을 철저히 단죄하겠다”고 선언하고서 대대적인 숙정작업을 전개했다. 하지만 그 진정성과 공정성을 의심하는 시선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