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사립유치원 최대 단체인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의 집단휴업이 사실상 무산됐다.
한유총은 전국 16개 시·도 지부 가운데 14개 지회가 오는 18일 유치원을 정상운영키고 했다고 17일 밝혔다. 전날 한유총은 서울·광주·대구·울산·대전·경기·충북·충남·전남·경북·제주 등 11개 지회장과 인천 지회 회원 75%가 휴업 계획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부산과 경남 지회가 정상운영에 추가로 동참했다. 반면 휴업 강행을 주장해온 한유총 투쟁위원회는 추이호 위원장이 위원장직 사퇴와 한유총 탈퇴 의사를 밝히면서 활동을 사실상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유총이 유치원 정상운영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지만 그간 내부 갈등으로 입장이 오락가락해온 데 대한 비난여론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초 한유총은 교육부를 향해 무기휴업까지 언급하며 정부를 압박했다. 사립유치원 누리과정 지원금 8만원 인상(22만→30만원), 국·공립 유치원 원아 비율을 현재 25% 수준에서 40%까지 확대하는 내용이 담긴 '2차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을 원점에서 재논의 하는 방안 등에 대한 입장을 요구했다.
이에 정부는 휴업을 강행할 경우 재정지원금 환수와 정원 감축 등 행정조치 뿐 아니라 감사와 고발까지 추진하겠다며 강경대응을 선포했다. 집단 휴업에 대한 비난 여론도 높아지자 한유총은 지난 15일 오후 휴업을 철회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강경파인 한유총 투쟁위원회 측은 이런 발표가 사실과 다르다며 휴업 강행을 선언했다.
그러자 한유총 사무국은 16일 휴업 강행은 일부 강경파 회원들이 극한투쟁을 선언한 것일 뿐 한유총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진화에 나섰다. 한유총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휴업 철회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