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휴업 철회 의사를 밝혔던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가 이를 번복하고 예정대로 18일 휴업을 강행키로 했다.
한유총은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부가 (파업 철회 발표 이후) 합의사항이라고 보낸 것과 당초 합의사항을 확인한 결과 공·사립 구분 없는 평등한 학부모 지원 방안 마련 등이 빠져있었다”며 “한유총 전 회원들은 교육부가 합의를 파기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대로 1차 휴업을 강행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한유총은 15일 박춘란 교육부 차관과 더불어민주당 안민석·유은혜 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간담회에서 휴업을 전격 철회했다. 하지만 철회 7시간 만에 결정을 번복했다.
이 같은 철회 번복 결정은 교육부가 언론 인터뷰에서 “사실 현재 상황으로는 (사립유치원 측에) 제시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오늘은 앞으로 누리과정비나 제2차 유아교육발전 기본 5개년 계획 등에 대해 논의해보자고만 말한 것이지 합의한 게 아니다”고 밝힌 데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교육부는 사립유치원 유아학비 지원 인상, 22만원인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지원금 30만원까지 인상 등을 이행하기 위해 향후 있을 ‘제2차 유아교육발전 기본계획’ 수립 때 한유총 등 사립유치원 관계자를 협의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한유총은 교육부가 집단 휴업 철회 발표 이전 보낸 합의사항과 이후 보낸 합의사항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한유총 측이 요구해 온 국공립·사립 간 무상교육비 균등지원 보장, 바우처 방식 유아교육비 지원을 통한 학부모 선택권 보장 등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유총과 교육부 간 협의가 무산됨에 따라 18일 전국 4291개 사립유치원의 55%인 2400여곳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사립유치원 원장을 중심으로 구성된 단체인 한유총은 그동안 사립유치원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요구해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