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에선 국회에서 여야 정치인이 연일 극한의 대치로 국민을 불안하게 하며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는 반면 정당이 다른 경기도 기초자치단체장들이 여야를 떠나 시민의 눈높이에 맞춘 적극적인 협력에 나서 양 도시 시민들의 찬사를 받고 있다.
중앙과 지방의 전혀 상반된 모습이다.
올해 초 불가능해 보였던 채무제로를 달성한데 이어 최근 인구 100만을 넘어서며 교육복지도시로써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고 있는 자유한국당 소속 정찬민 용인시장과 인구 35만에 불과하지만 폐광의 기적을 통해 한 해 150만 관광객이 방문하는 광명동굴을 통해 관광도시로 급부상한데 이어 KTX광명역사를 발판으로 유라시아 중심도시로의 발전을 꿈꾸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양기대 광명시장이 용인시청에서 만나, 서로 포옹하며 두 손을 맞잡았다.
용인시는 13일 오후 시청에서 정찬민 시장과 양기대 시장이 ‘용인시-광명시 문화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 도시는 앞으로 문화·관광사업 기술과 경험 공유, 공동의 관광객 유치 및 관광 상품 개발·마케팅 협력, 광명동굴을 통한 용인특산품 판매·홍보, 미래관광사업과 관광콘텐츠 선도를 위한 상생파트너십 구축 등을 추진하게 된다.
이날 협약은 양 도시가 함께 손잡고 특히 문화·관광·지역경제 분야와 관련 활발한 교류를 통해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함께 만들겠다는 구상을 실제적인 정책으로 구체화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이 같은 두 도시의 협력이 더욱 관심을 끄는 데는 이유가 있다.
용인시의 경우 에버랜드와 한국민속촌, 광명시는 광명동굴과 KTX광명역사 등 각각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두 단체장 취임 후 괄목할만한 지역경제 성장을 이뤄나가고 있는 점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세계적인 테마파크 에버랜드와 한국민속촌 등 대한민국 최고의 문화관광지를 보유한 관광도시, 그리고 농촌지역인 처인구 중심으로 생산되는 신선한 로컬푸드 등은 광명시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반겼다.
광명시 관계자도 “광명동굴을 통해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유입되는 관광객이 용인시의 관광 인프라와 연계되면 양 시의 관광산업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화답했다.
용인시는 우선 오는 23일부터 11월 26일까지 매주 토·일요일에 광명동굴에서 열리는 ‘팔도 농특산물 주말장터’에 적극 참가하기로 했다.
정찬민 시장은 “양기대 시장과는 남다른 관계로 평소에 사랑과 존경의 마음을 가지고 있다”며 “여러 관광자원을 공유하고 협력해 양 도시의 지역 특산물 홍보와 판매가 많이 이뤄지도록 힘쓰자”고 제안했다.
양기대 시장도 “혁신의 아이콘인 정찬민 시장이 공무원과 함께 용인에 엄청난 변화와 발전을 이룬 것에 대해 배우겠다”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문화관광도시인 용인시와 상생하는 모델을 함께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