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국민의당 전 대표는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부결과 관련해 청와대와 문재인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며 "나사 빠진 정권"이라고 비난했다.
박 전 대표는 1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청와대에서 저렇게 신경질적인 무책임의 극치니, 반대를 위한 반대. 이러한 얘기를 하는 것은 지금도 오만의 극치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취임 초 그 감동적인 취임사, 5·18기념사, 테이크아웃 커피를 들고 청와대에서 참모들과 얘기하는 그 모습으로 돌아가야 된다"며 "협치만 강조하고 독선적인 인사하고 지지도만 자랑하면서 나를 따르라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렇기에 이번 김 후보자 인준 부결은 국민들이 다시 한 번 문 대통령이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기회를 준 것이고 민의를 정확하게 전달한 것"이라며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으라는 것으로 (이해)해야지 저렇게 발끈하고 야당에 책임전가하면 앞으로 국정과제를 위한 법안이나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는 장담할 수 있겠나"라고 지적했다.
박 전 대표는 그러면서 "지난번 추경 때 보라. 대통령이 어렵게 40~50일 걸려서 추경 표결하는데 야당 믿고 표결하는 당일 26명이 불참했다면 대통령이 청와대 참모들, 민주당 지도부 책임을 물었어야 된다"며 "이렇게 해가지고 이런 결과가 나왔는데 이건 나사 빠진 정권"이라고 질타했다.
국민의당이 김 후보자 부결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에 대해 박 전 대표는 "무기명 비밀투표를 어떻게 국민의당이 전부 반대했다고 얘기할 수 있나"라며 "민주당에서도 상당한 의원들이 대통령 인사에 불만을 표시하는 분도 있었다. 그렇지만 그들이 찬성했는가 반대했는가 이런 것은 저는 모른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의 국정 전반으로 봐야한다. 문 대통령은 촛불혁명으로 태어난 정권이기에 어떻게 해서든 성공시켜야한다. 그러면 그 1차적 책임은 대통령한테 있다"며 "(김 후보 부결은) 정치적, 정략적이 아니라 국정 전반을 위해서 다시 한 번 문 대통령의 성공을 비는, 협력하는 그런 의미에서 국민이 경고를 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