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대화 입장에 지지 의사를 밝혔다. 북한의 계속되는 핵·미사일 도발에도 대화를 포기하지 않는 문 대통령에 대해 야당의 비판이 쏟아지는 가운데, 통일을 경험한 독일의 전 총리는 다른 입장을 내비친 것이다.
슈뢰더 전 총리는 11일 국회의원 연구모임인 ‘동북아 공존과 경제협력’과 재단법인 ‘여시재’ 공동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강연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대화 조건을 갖추면, 즉 도발을 중단한다면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겠다고 밝혔다”며 “힘겨운 길이겠지만 이 입장이 고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화에 앞서 제재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수소탄 실험으로 북한 핵 문제는 새로운 차원으로 확대돼 동북아 전체의 안전과 평화가 위협받게 됐다”며 “국제사회는 강도 높은 추가 제재를 고려해 북한이 돌아설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핵 해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슈뢰더 전 총리는 “매우 특별한 방식을 통해 가능하다”며 “미국·러시아·중국 3국이 공동 전략을 갖고 북한에 대응해야 하고, 이 전략은 한국이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협력 방식에 대해서는 뚜렷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그는 “3개국이 하나의 목소리를 낸다면 (북한에) 정치적 압박을 가할 수 있다”며 “그것이 확실하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이런 과정을 밟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한국은 에너지 분야에서 러시아와 긴밀히 협력할 수 있고, 이런 협력을 통해 러시아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너무 어려운 질문이라 확답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또 개성공단 재개 문제와 관련해선 “(개성공단 재개는) 대화 재개의 시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현 상황에서 현실적 대안인지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