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루텍스트’ 못만든 안보리… 틈새 노려 협박한 北

입력 2017-09-11 08:59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장면. 신화 뉴시스

북한은 11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제재를 추진할 경우 상응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위협했다. 미국이 안보리에 대북 결의안 표결을 하자고 요청한 ‘D-데이’에 맞춰 ‘협박’을 한 것이다. 미국은 지난주 원유 공급 차단 등 강경한 대응책이 담긴 초안을 이사국에 회람했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안보리는 최종안을 뜻하는 ‘블루 텍스트’를 아직 만들지 못한 상태다.

◇ 북한 외무성의 ‘협박 성명’

북한 외무성은 이날 성명을 발표해 “미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보다 더 혹독한 불법·무법의 제재 결의를 끝끝내 조작해내는 경우 우리는 결단코 미국이 그에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이 이 성명을 전했고 연합뉴스가 통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성명은 “우리는 날로 가증되는 미국의 적대시 책동과 핵 위협을 억제하고 조선반도와 지역에 조성되고 있는 핵전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초강력 열핵무기를 개발·완성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우리의 정정당당한 자위적 조치를 우리를 목 조르기 하여 완전히 질식시키기 위한 구실로 써먹으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이 이미 완결단계에 도달한 우리의 국가 핵 무력 강화를 되돌려보려는 몽상에 사로잡혀 피에 주린 야수의 본성을 드러내고 있는 데 대하여 절대로 수수방관할 수 없다”며 “우리가 취하게 될 다음번 조치들은 미국으로 하여금 사상 유례없는 곤혹을 치르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 외무성 성명은 미국이 유엔 안보리에 대북제재 결의안을 표결해 달라고 공식 요청한 11일(현지시간)에 맞춰 발표됐다. 표결을 앞둔 안보리를 겨냥해 협박성 발언을 내놓은 것이다. 추가 제재 결의안이 통과되는 상황을 막아보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 막판 샅바싸움… 표결 일정 확정 못한 안보리

‘원유 차단’ 등 역대 최강 제재 조치들을 담은 안보리 대북 결의안은 미국의 요청대로 11일 표결에 부쳐질 수 있을까. 일본 NHK는 이날 미국과 중국·러시아 간에 물밑협상이 진행되고 있지만 표결로 이어질지 불확실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안보리 순회 의장국인 에티오피아 대표부는 아직 표결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안보리 이사국들은 결의안 작성을 담당하는 상임이사국이 제시한 초안을 놓고 협의를 거쳐 최종안인 ‘블루 텍스트(Blue Text)'를 만들어낸다. 블루 텍스트가 나오면 24시간 안에 표결에 부칠 수 있다. 표결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는 것은 아직 블루 텍스트가 만들어지지 않았음을 뜻한다. 이사국들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미국 대표부는 지난 6일 초안을 이사국들에 회람했다. 이어 8일 “새 대북제재 결의안 표결을 위해 11일 안보리 회의 소집을 요청했다”고 밝혔었다. 미국의 초안에는 김정남과 김여정 남매 제재, 원유 및 석유제품 공급 전면 중단, 북한 노동자 고용 금지, 선박 검색 시 군사력 사용 허용, 북한산 섬유 수입 금지 등 고강도 제재방안이 담겼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