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노동단체들이 주말 도심에서 집회를 열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했다.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는 9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서울정부청사 후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간제 교사들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7월 20일 정부가 발표한 가이드라인에서 기간제 교사들이 제외된 사실을 언급하며 “전환심의위원회에서도 정부의 결정과 다르지 않은 결정을 하려고 하고 있다”며 “정부가 기간제 교사들에게 희망고문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일부 제보에 따르면 몇몇 교육청에서는 한 학교에서 4년을 근무한 기간제 교사에 대해 재계약을 하지 말라는 결정이 있었다고 한다”며 “정교사를 늘리는 것은 맞지만 그것이 기간제 교사의 해고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전날 밤부터 서울정부청사 인근 세종로공원에서 철야농성을 벌이며 무기계약진 전환을 통한 처우 개선을 주장했다.
앞서 이날 오전 10시에는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도 결의대회를 열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했다.
노조 측은 “교육부의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는 정부 가이드라인의 대원칙인 ‘상시 지속 업무 직접고용 정규직화’를 외면하고 있다”며 “정부의 정규직 전환 정책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대량해고로 귀결되는 상황”이라고 목소리 높였다.
교육부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는 영어회화 전문강사, 다문화언어 강사, 초등 스포츠강사 등 7개 직종 강사와 기간제 교사의 정규직 전환 여부를 검토 중에 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