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드 발사대 4기 7일 배치"… 새벽 2시 전후

입력 2017-09-06 17:30
사드 배치가 임박한 6일 오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 입구에서 도로를 점거한 주민과 경찰병력이 대치하고 있다. 뉴시스

국방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잔여 발사대 4기를 7일 경북 성주 부지에 배치한다고 6일 밝혔다. 사드반대 소성리 종합상황실도 “7일 새벽 2시를 전후해 추가 배치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발사대 배치 전 언론과 주민에 공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배치 임박 징후는 이날 오전부터 포착됐다. 평소 의무경찰이 근무하던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 직업 경찰관이자 무술 유단자 출신인 기동대 360명이 배치됐다. 주한미군이 헬기로 기반시설 공사에 쓸 장비와 자재 등을 성주 골프장 안으로 실어 나르는 모습도 보였다. 종합상황실은 발사대 배치 통보 후 도로 봉쇄 등에 대비해 주민과 시민단체에 소성리 집결을 긴급요청하는 등 종일 긴장감이 감돌았다.

사드 발사대 4기는 ‘몰래 반입 및 보고 누락’ 논란이 일면서 배치가 중단된 상태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말 성주에 이미 설치된 발사대 2기 외에 4기가 국내에 추가 반입돼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보고받고 “매우 충격적”이라며 진상조사를 지시했다. 사드 포대는 총 6기의 발사대로 구성되는데, 이 중 2기는 지난 4월 배치 과정이 공개됐다. 문 대통령은 법령에 따른 적정한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강조해 연내 배치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북한의 잇단 핵·미사일 도발로 시간표가 앞당겨졌다. 7월 2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 14형’ 2차 시험발사 직후 문 대통령은 잔여 발사대 4기의 임시 배치를 지시했다. 이후 환경부가 지난 4일 국방부의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보고서에 대해 ‘조건부 동의’ 결정을 내리면서 배치를 위한 절차는 마무리됐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