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민간인 외곽팀장 명단에 이름이 오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국정원으로부터 400만~500만원의 돈을 받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댓글 활동과는 무관한 한글 홍보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금이라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2007년 가을 유네스코에 한글 설치 미술품을 기증하는 프로젝트를 하는 데 본인을 국정원 문화사업팀으로 소개한 A씨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며 “당시 뉴욕 유명 설치미술가인 지인의 한글 작품을 파리 유네스코 본부로 옮기는데 A씨가 국정원에서 그 정도는 지원해 줄 수 있다며 돈을 건넸다”고 주장했다.
당시 A씨가 건넨 돈은 400만~500만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원은 현금으로 이뤄졌다. 서 교수는 A씨가 “우리는 현금으로 지원한다. 다른 정부 지원과 같은 정부 지원금이라고 말했다”고 했다.
서 교수에 따르면 A씨는 현금과 함께 영수증을 내밀었다. A4 1장짜리인 이 영수증엔 한글 설치 미술품 관련 비용 이라는 내용과 지원금 액수, 날짜, 서 교수 이름과 서명란 등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서 교수는 여기에 서명도 했다.
서 교수의 유네스코 한글 설치 미술품 기증 프로젝트는 2006년 유네스코가 각국 문맹퇴치 공로자에게 시상하는 ‘세종대왕 문해상’을 지정하면서 생각해 낸 홍보 프로젝트다. 2007년 초 알게 된 A씨가 어떤 일을 요즘 하느냐 물어 관련 프로젝트를 설명했고 A씨가 직원이 유네스코 쪽에 파견을 나가 있다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는 게 서 교수의 주장이다.
실제 서 교수는 설치 미술품이 유네스코에 기증 되는 데 A씨가 많은 도움을 줬다고 전했다. 다만 자신이 사인해 받은 그 돈이 국정원 댓글 공작과는 전혀 무관한 한글 작품 전시를 위한 운반비 지원이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저를 두고 ‘왜 거짓말을 했냐’ ‘왜 말을 바꾸냐’는 지적이 나오는데, 이명박정부 때 국정원 댓글공작에 연루돼 돈을 받고 활동한 사실이 전혀 없다는 점을 설명한 것이었다”며 “국정원의 댓글 공작과 관련해 트위터 팀장을 제안 받았던 적도 없고, 그것과 관련된 활동비를 받은 적도 절대 없다. 돈을 받은 것 역시 노무현정부 때다”고 해명했다.
검찰은 서 교수가 국정원 여론조작 활동에 연관됐는지 단서를 수집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심도 있게 검토도 하고 그렇지만 통상의 절차대로 할 것”이라며 “아직 국정원 관계자 조사한 적은 없지만 향후 필요하면 진행 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