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5일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안보 관련 긴급 당정협의회를 열어 북핵 위기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당·정·청은 보다 강력한 압박과 제재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한·미 동맹과 국제 공조를 중심으로 신속한 대응조치에 나서기로 했다.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국회에서 결과 브리핑을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은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엄중한 도발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확고한 공조 하에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제적인 대응조치들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며 “당·정·청은 굳건한 한·미 방어태세로 대응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만반의 태세를 갖출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북한의 이번 핵실험에 대해 국방부·외교부·통일부·국가안보실 등 관련 부처가 정리한 현안을 공유하고 대처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정부·여당의 기조에도 불구하고 현 상황의 위급성을 고려할 때 강도 높은 추가 압박과 제재가 필요하다는 데 논의가 집중됐다. 백 대변인은 “유엔 안보리 추가 결의안을 비롯해 과거보다 훨씬 강력한 제재조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돼 당국도 그런 부분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의 전 모두발언에서는 야당의 안보 공세에 대한 반박이 이어졌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한·미 정상 간에는 어떠한 이견도 없다. 레토릭, 즉 수사의 공조가 아니라 실질적인 행동의 공조를 하고 있다”며 일각에서 제기된 한·미 공조 균열론을 일축했다. 추미애 대표는 야권의 핵무장 논의를 “비핵화 목표를 망각한 철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비공개 회의에서는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전날 국회 국방위 현안보고에서 ‘전술핵 재배치도 대안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한 발언에 대해서도 의견이 오갔다. 참석자들이 진의를 물었고 송 장관이 직접 발언 취지를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 대변인은 “구체적인 논의라기 보단 얘기가 나온 정도”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