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무원 429명을 선발하기 위해 예산 21억4900만원을 책정했다. 필기시험 감독자 수당만 8억1000만원이 소요된다. 필기시험 장소를 빌리는 비용도 1억3000만원이나 된다.
500명도 안 되는 인원을 뽑는데 이렇게 큰 돈이 드는 이유는 너무 많은 응시자가 몰렸기 때문이다. 이번 국가공무원 채용시험에는 무려 10만6186명이 응시했다. 청년실업에 급증한 '공시족' 규모가 선발 과정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정부는 5일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국가공무원 추가 채용 및 교육 소용경비로 51억7000여만원을 지출하는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일자리 추경'을 통해 국가공무원 2575명과 지방공무원 7500명 등 총 1만75명을 증원한다. 충원하는 국가공무원 중 생활안전분야 7·9급은 819명이다. 이 가운데 429명을 인사혁신처가 공채로 선발하는데, 그 예산으로 21억4900만원이 책정됐다.
정부 관계자는 “선발 인원은 적지만 응시자가 10만6186명에 이르다보니 시험비용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출제비용 8억3000만원, 1차 필기시험장 임차료 1억3000만원, 필기시험 감독관 수당 8억1000만원 등이 소요된다. 7급 추가공채는 113명 선발에 1만796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95.5 대 1을 기록했다. 9급은 316명 선발에 9만5390명이 지원해 301.9 대 1이나 된다.
생활안전분야 819명 중 공채로 뽑는 429명 외에 나머지 인원은 관련 부처가 경력채용으로 각각 선발할 계획이다. 이밖에 경찰 1104명 추가 채용·교육 예산 21억2천900만원, 군 부사관 652명 추가 채용·교육 예산은 8억9900만원이 책정됐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