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교수 연구팀이 기존 어떤 종류의 인터페론보다도 항바이러스 효과가 뛰어난 단백질을 발굴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물질은 실험결과 내성기전으로 항바이러스 기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인터페론-알파, 베타와 달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해 강력한 저항성을 보였다.
호흡기 바이러스는 집단감염 위험성이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한다. 전염을 통해 변종이 발생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도 어렵다. 지난 2008년 유행했던 신종플루와 2015년 큰 이슈를 일으킨 중동호흡기증후군 모두 전염성 강한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이었다.
인체에 바이러스가 침입할 경우 면역 체계가 활성화 되는데, 이를 조절하는 핵심물질이 인터페론이다.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의 일차 방어 역할을 수행하는데, 바이러스는 이를 무력화하기 위해 다양한 변이를 일으켜 내성을 가지게 된다.
연구팀은 인터페론 간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세포배양 및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서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의 진행경과를 관찰했다.
인터페론-람다와 베타를 제거한 각각의 실험군을 비교한 결과, 인터페론-람다가 활성화되지 않은 쥐의 몸무게는 27% 더 감소하였고, 생존비율이 50% 더 낮아졌다.
이밖에 인터페론-람다는 호흡기로 투여 시에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으며, 다른 인터페론 보다 바이러스 감염 억제에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김 교수는 “인터페론을 이용한 선천성 면역체계 강화 기전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아직은 실험연구 단계이지만 향후 항바이러스 약제 및 백신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호흡기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아메리칸 저널 오브 레스피러토리 셀앤드 몰리큘러 바이올로지(AJRCMB) 최근호에 게재됐다.
보 충 설 명
#. 인터페론-람다
사람의 몸은 인터페론 알파, 베타, 감마, 람다 4종류의 인터페론을 가지도록 진화해 왔다. 람다 인터페론은 주로 호흡기 점막에서 만들어지며, 일부 형태는 침팬지와 같은 고등 동물에도 없고 오직 사람에게만 존재한다. 지금까지는 알파, 베타 인터페론이 사람의 몸, 특히 소화기와 호흡기 점막에서 항바이러스 기전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