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정기국회 보이콧과 함께 ‘장외 대정부투쟁’을 선언했다. 국회를 벗어난 한국당 의원들이 처음 ‘투쟁'을 시작한 상대는 김장겸 MBC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한 검찰이었다.
한국당은 4일 오전 의원총회에서 김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를 문재인정부의 ‘언론 장악’으로 규정하고, 정기국회 일정을 보이콧하기로 했다. 다만 전날 북한이 실시한 6차 핵실험으로 안보위기가 고조되는 점을 감안해 국방위원회, 정보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등 안보 관련 상임위에 대해서만 예외적으로 참석키로 결정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이 정권은 적폐청산이라는 허울좋은 미명 아래 정치보복에만 열중하고 있다”며 “단일대오로, 나라를 바로잡는다는 각오로 한 사람도 빠짐없이 투쟁 대열에 참여해달라”고 말했다.
보이콧 방침을 재확인한 한국당은 오전 국회 본회의에 참석하는 대신 본회의장 앞에서 정부의 언론장악을 규탄하는 피켓 시위를 개최했다. 이후 정우택 원내대표를 비롯한 한국당 의원 80명은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청사를 항의방문해 문무일 검찰총장과 면담하고, 김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 청구 경위를 따져물었다. 오후에는 방송통신위원회를, 5일에는 청와대와 고용노동부를 찾아가 ‘언론장악 규탄’ 목소리를 전달할 계획이다.
그러나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시점에 김 사장 체포영장 발부를 빌미로 진행되는 한국당의 ‘장외투쟁’은 명분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당의 불참으로 국회 파행이 장기화될 경우 내년 예산안 심사와 국정감사, 각종 입법 처리도 불투명하다. 지난 1일 여야 원내대표가 잠정 합의했던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임명동의안 처리도 결국 불발됐다.
여야를 가리지 않고 한국당의 행보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조사를 거부하고 있는 MBC사장의 거취 문제로 국회를 전면 보이콧한다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한국당의 국회 보이콧은 범죄 피의자 도주를 돕는 ‘김장겸 은닉 보이콧’”이라며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가 요동치는 상황인데 한국당은 입으로는 열렬히 안보를 외치지만 결국 적폐 감싸기에만 혈안이 돼 있다”고 지적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