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을 그린 첫 벽화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전남대학교 ‘광주민중항쟁도 벽화'가 27년만에 복원됐다.
광주민중항쟁도 벽화 복원 추진위원회는 2일 오후 광주 북구 용봉동 전남대 사범대학 1호관 민중항쟁도 벽화 앞에서 벽화 복원 제막식을 열었다.
벽화 복원에는 시민 831명이 모금한 2000여만원과 광주시 5·18민주화운동 기록관이 기탁한 2000만원의 예산이 쓰였다.
세척 작업 뒤 작가 20여명이 지난 8월16일부터 28일까지 벽화를 복원했다. 추진위원 900명, 채색 참여자 423명도 힘을 보탰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축사에서 "5월 항쟁의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 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 5월 정신의 헌법 전문 게재 등은 광주의 중요한 임무"라며 "광주시민들의 궤적과 삶이 이 땅의 민주주의와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힘의 원천이었다. 민중항쟁도 복원을 계기로 연대, 협력하자"고 말했다.
허민 전남대 부총장도 "전남대는 항상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 왔다"며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해 힘써온 모든 이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추진위원회는 벽화 앞을 공원으로 만드는 사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광주민중항쟁도는 5·18민주화운동 10주년을 맞아 1990년 6월 전남대 그림패 '마당'과 예술대학 미술패 '신바람', 사범대 미술교육과를 중심으로 사범대학 벽면에 제작됐다.
벽화는 가로 10m, 세로 16m 크기에 유성 도료로 그렸다. 총을 든 왼손을 힘차게 뻗은 청년과 군용지프를 탄 시민군의 모습 등으로 시민군의 형상을 담았다.
벽화는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첫 벽화로 평가받고 있으며, 27년 동안 단 한 차례의 보수도 이뤄지지 않아 훼손이 진행됐다.
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