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40분 통화 “미사일지침, 한국 원하는 대로 개정”

입력 2017-09-02 01:53 수정 2017-09-02 01:56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후 청와대 관저 소회의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갖고 북한 문제 대응 방안과 미사일 지침 개정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 북한의 거듭된 미사일 위협에 양국이 다시금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지난달 7일에도 두 정상은 전화통화로 북한의 군사 도발에 대한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2일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오후 11시10분부터 11시50분까지 약 40분간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따른 한반도 안보상황과 대응방안을 중점 협의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을 가함으로써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북한으로 하여금 대화의 장으로 나와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재확인했다”며 “이를 위해 한미 동맹, 그리고 한미일 3국간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또 “두 정상은 최근 북한 도발 대응 및 억지 과정에서 양국 NSC, 외교·군사당국 등을 통한 긴밀한 협의가 지속되어 왔음을 평가했다”면서 “향후 각급 레벨에서 빈번한 접촉을 통해 이러한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두 정상은 양국의 ‘미사일지침’을 한국이 희망하는 수준으로 개정한다는 원칙에 합의했다. 북한의 군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의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에 따른 것이다. 다만 청와대는 구체적인 미사일 지침 개정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한·미 정부는 사거리 800㎞ 탄도 미사일에 실을 수 있는 탄두 최대 중량을 현재 500㎏ 미만에서 최소 1t으로 늘리는 방안에 합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로 미국 남부지역에 막대한 규모의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데 위로의 뜻을 전달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 하에 이번 재난을 조속히 극복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면서 “피해복구 노력에 동참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깊은 사의를 전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