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위 관계자는 31일 “보수 우파 몰락의 책임으로 친박계 핵심인 두 사람 징계가 불가피하다는 논의가 있었다”며 “다른 인사까지 포함할 경우 인적 청산의 범위가 너무 넓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고 말했다.
혁신위는 전날 회의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출당과 친박계 인적 청산 문제를 두고 위원들 간 2시간 넘게 격론을 벌였다. 회의에서 일부 혁신위원들은 친박계 인적 청산과 관련해 “보수 몰락의 시작은 20대 총선을 앞둔 공천 파동이었다. 당시 당 대표였던 김무성 의원의 책임도 가볍지 않다”고 주장했다. 친박계 책임론에 맞서 ‘김무성 책임론’을 꺼내든 것이다. 다만 혁신위 내부에서는 “이미 당을 떠난 인사를 거론하는 것은 인적 청산을 물타기 하려는 의도로 오인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최근 바른정당과 보수 통합 논의의 분위기가 무르익는 상황에서 김 의원 책임론이 부각되는 것에 대한 부담도 있다.
혁신위는 서·최 의원에 대한 징계 수위는 결정하지 못했다. 두 사람이 이미 지난 1월 당원권 정지 3년의 징계를 받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징계가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있어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홍준표 대표는 지난 5·9 대선 직전 보수대통합을 천명하며 이들에 대한 당원권 정지 징계를 해제했다. 서·최 의원이 선거로 선출된 국회의원인 만큼 당 차원에서 당협위원장직 박탈 외에 다른 징계를 내리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른 친박계 의원들의 반발도 변수다.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를 두고도 10월 중·하순으로 예상되는 1심 선고 이후에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서·최 의원의 징계가 가시화될 경우 또 다른 당내 분란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혁신위는 1일 회의에서 박 전 대통령 출당과 인적 청산 문제를 두고 ‘끝장토론’을 벌이기로 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