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신임대표가 27일 과반의 지지로 결선투표 없이 곧장 당권을 쥐게 되자 그간 안 대표 출마에 반대해온 반대파 의원들은 대부분 '일단 수용' 입장을 밝혔다.
안 대표 출마에 반대했던 한 의원은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표면적으로는 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향후 안 대표 행보에 따라 당내 갈등이 촉발될 가능성은 여전히 농후하다.
안 대표 반대파에 속하는 황주홍 의원은 이와 관련, 전당대회 직후 기자들에게 배포한 자료를 통해 "아쉽다. 이런 결과가 아니길 기대했다"고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다른 반대파 의원은 "(갈등 요소는) 잠복해 있다"며 "얘를 들어 타 당과의 연대 문제 등이 제기되면 (당 구성원들이) 서로 생각이 다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향후 당 노선을 두고 갈등이 재촉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바른정당과의 연대 문제가 본격화될 경우 그간 안 대표 출마에 반대해왔던 당 고문단 등에서 재차 격한 반발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안 대표를 지지해온 당내 초재선 그룹이나 수도권 의원들이 바른정당과의 연대 필요성을 공공연히 주장해온 만큼 갈등이 친안계와 비안계의 싸움으로 번질 공산이 크다.
아울러 향후 당직 인선을 두고도 군소리가 나올 소지가 있다. 안 대표는 이날 수락회견에서 "원외의 좋은 인력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게 우리 당의 실력을 키우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당초 안 대표의 전당대회 출마 자체가 원외 지역위원장 일부의 요구로 이뤄지는 등 당내 안 대표 세력은 대부분 원외에 편중돼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실제 당직 인선이 원외 중심으로 이뤄질 경우 당장 '사당화' 비판이 다시 불거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안 대표가 사실상 자신의 대선 패배로 궐위된 지도부에 다시 선출된 만큼, 안 대표 등판에도 불구하고 당 지지율이 지방선거 전까지 눈에 띄게 반등하지 않는다면 곧장 반대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책임론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