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사태로 환불 조치에 들어간 깨끗한 나라의 릴리안 생리대가 경기도 수원시 저소득층 청소년 1000여명에게 제공된 것이 뒤늦게 확인됐다.
수원시는 25일 이번 연도 경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정기탁금을 활용해 수원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중 만 10~18세 여성 청소년 1022명에게 릴리안 생리대를 지급했다고 밝혔다. 지급한 위생품은 한 명이 약 10개월간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인 300개씩이며 지난달 12일 각 가정에 택배로 보냈다.
이에 수원시는 같은 날 릴리안 생리대를 지급받은 저소득층 청소년의 부모에게 사용 중지를 안내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수원시는 문자에서 "우리 시가 지원한 생리대를 포함해 일부 제품에서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됐다는 보도가 있으니 배송된 생리대 사용을 중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서울시 역시 수원시와 비슷한 처지에 놓이게 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적십자사를 통해 릴리안 생리대를 월 8만개씩 12개월 간 받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후 넉 달간 약 30만개의 릴리안 생리대가 자치구 종합사회복지관, 여성 폭력 피해자 보호 시설 등 143곳에 지급됐다.
릴리안 생리대는 이 생리대를 사용한 후 생리 양이 줄고 생리통이 심해지는 등 부작용을 겪었다는 사례가 급격히 늘면서 논란이 됐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제품을 수거하는 대로 품질검사에 나설 예정이다. 깨끗한 나라에서도 지난 24일 환불은 물론 릴리안 생리대 판매 및 생산 중단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박은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