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5일 북핵 문제와 관련해 제재와 압박을 지속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대화와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북한과의 대화를 위해 한·일 또는 한·미·일 차원에서 긴밀히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한·일 양국 정상이 이날 오전 10시40분부터 약 30분간 통화에서 북핵 문제 등 한반도의 긴장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이와 관련해 공조 및 대응방안에 대해 협의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 취임 후 아베 총리와 통화한 것은 4번째다.
박 대변인은 “양 정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상황을 면밀히 주시·분석하면서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 한·일, 한·미·일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올바른 여건에 대해서도 긴밀한 공조와 협의를 해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도발이 누그러져 보이지만 을지프리덤가디언(UFG) 기간에 도발할지, 훈련 후에도 이런 태도를 유지할지를 보면서 올바른 여건이 된 것인지의 판단을 협의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통화에서는 양국 간 민감한 사안인 역사문제도 다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총리는 통화 말미에 “일본 국민 사이에 걱정이 좀 있다”며 문 대통령이 지난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강제징용에 대해 언급한 것을 거론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의한 징용 피해자의 개인청구권이 소멸되지 않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베 총리의 문제제기에 문 대통령이 “한·일기본조약과 한·일회담에서 해결됐고 한국 정부도 보상한 바 있지만, 한국 대법원은 국가 간 문제가 아니라 피해자와 회사 사이에 남아 있는 개인적 청구권까지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취지의 판결을 했다”는 식으로 설명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 문제가 양국 간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에 걸림돌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발언했고, 이에 아베 총리가 상황을 잘 관리하면서 성숙한 관계로 가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덧붙였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