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재산 18억2000만원, 장하성 93억원으로 청와대 참모 중 최고

입력 2017-08-25 09:13 수정 2017-08-25 09:19
문재인 대통령의 재산이 18억2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장하성 정책실장은 93억1900만원으로 청와대 참모진 가운데 가장 많았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고위공직자 재산등록사항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재산은 2016년 19대 국회의원 퇴직 당시 15억700만원이었으나 대통령 취임 후 18억2200만원으로 3억1500만원 가량 증가했다.
 
2016년 5억6600만원이던 예금이 3억원가량 늘어난 게 증가한 이유다.

문 대통령은 본인 이름으로 5억2100만원, 김정숙 여사 이름으로 3억2200만원, 어머니 강한옥 여사 이름으로 2300만원 등 총 8억6700만원의 예금을 신고했다.

보유 건물의 가액은 양산 자택(3억2600만원), 취임 전까지 거주하던 서울 홍은동 자택(2억8500만원), 모친 강한옥 여사 이름으로 된 부산 영도 아파트와 서울 여의도 아파트의 전세 임차권 등을 포함 총 7억5800만원으로 신고했다.

보유 토지로는 경남 양산의 대지, 답 등 3억2300만원을 신고했고 1400만원 상당의 제주도 한경면 임야 1121㎡도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다.
 자동차는 문 대통령 본인 명의의 2010년식 쏘렌토R SUV와 김정숙 여사 명의의 2013년식 스포티지R SUV 두 대를 보유했다.

문 대통령을 포함해 지난 5월 임명된 청와대 참모진의 평균 재산은 19억7892만원이었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 인사 17명의 평균 재산(24억4700만원) 보다 4억6800만원 정도 적다.

장하성 실장이 본인과 배우자, 부친, 장남 이름으로 총 52억7000만원 상당의 유가증권 등 93억1900만원을 신고해 가장 맣았다.
 하승창 사회혁신수석은 3억1000만원을 신고해 수석비서관 중 가장 적었다.

새 정부 고위인사 중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의 재산은 64억7195만원이었다. 본인 재산은 예금 2억7621만5000만원이고 나머지는 2012년 결혼한 부인 재산이다. 서훈 국정원장은 36억5601만원을 신고했다.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재산은 11억9378만2000원,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17억4994만4000원, 통일부 천해성 차관은 19억2822만원을 신고했다.

지난 5월초까지 공직을 맡았던 박근혜 정부 시절 공직자의 재산도 공개됐다.
 이병호 전 국정원장 8억4338만5000원,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27억8708만4000원을 신고했다. 김수남 전 검찰총장은 25억8409만9000원이었다.

이번 재산공개는 공직자가 된 이후 2개월이 된 달의 말일까지 재산을 신고하게 돼 있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른 것이다.  공직자윤리법은 대통령과 국무위원 등 국가의 정무직 공무원, 1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의원, 부장판사급 이상 법관 등은 재산변동사항을 관보 등을 통해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