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국민일보] 창조경제 1호의 몰락… ‘의혹의 연기’

입력 2017-08-25 07:00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1심 선고를 하루 앞둔 24일 서울 서초구 삼성 서초사옥에서 직원들이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밖으로 나서고 있다. 박영수 특별검사는 지난 7일 뇌물공여와 재산도피 등 혐의로 이 부회장에 대해 징역 12년을 구형했다. 곽경근 선임기자

‘몰락’ 창조경제 1호 ‘의혹의 연기’
박근혜정부가 내걸었던 창조경제의 기린아는 대기업이 아닌 카이스트 최초의 자회사, 창조경제 1호 벤처기업으로 꼽혔던 아이카이스트였습니다. 그런데 김성진 대표는 지난해 9월 돌연 170억원대 사기와 탈세 등 혐의로 대전지검 특수부에 구속됐습니다. 극과 극 행보는 화려한 정·관계 인맥을 과시했던 기업인의 무리한 사업 확장과 정부의 비호 의혹이 뒤섞이 결과로 보입니다.

朴정부 식약처 ‘알·떡·순’ 안전대책 보고... 우병우 ‘계란’ 뺐다
박근혜정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이른바 ‘알떡순’(계란·떡볶이·순대) 안전 당화대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러나 청와대는 유독 계란 안전대책에 미온적 태도를 보였고, 식약처는 국민 안전을 도외시한 채 청와대 지시를 충실히 따랐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시 민정수석은 우병우씨였습니다.

“동성혼 합법화 논의 반대” 기독교계·학계 한목소리
기독교계와 학계가 국회에 모여 동성애·동성혼 합법화를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쁂쁄일 국회 정론관에서는 한국교회교단장회의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 등 교계를 대표하는 쁄개 단체가 개헌특위에서 논의 중인 동성애븡동성혼 합법화를 반대하는 ‘한국 교계 긴급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단독] 세종청사 구내식당 사업 뛰어든 대기업들... ‘3500원’ 푼돈 벌려고?
급식 단가가 3500원으로 일반 사업장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정부세정청사 구내식당 사업자 선정 입찰에 대기업 계열 급식 업체들이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수익성으로 보면 매력적인 사업은 아니지만 ‘정부 눈치보기’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